모고 성적표 보는 법 - 등급별 비율 & 원점수/백분위/표준점수 개념 설명과 예시
모의고사 성적통지표의 점수 개념은 우리가 채점한 점수랑 달라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우리가 흔히 채점해서 얻은 점수를 "원점수"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수능 성적표에는 원점수가 아닌 표준점수와 백분위가 기록됩니다. 그 이유는 영어와 한국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과목이 상대평가이기 때문입니다.
수능은 상대평가라
표준점수와 백분위가 중요합니다.
1. 원점수
우리가 정답표를 보고 채점을 한 뒤 100점 만점에서 틀린 문제의 배점을 차감한 것을 "원점수"라고 합니다.
절대평가인 영어와 한국사는 이 원점수를 기준으로 등급이 매겨집니다. 구체적인 등급표는 글 아래에 있습니다.
2. 표준점수
하지만 모의고사와 수능은 상대평가이기 때문에 원점수가 아닌 표준점수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 표준점수는 그 산정 방식이 복잡한데 간단히 말하면 나의 원점수가 평균점수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때문에 시험 난이도가 쉬우면 표준점수가 낮게 나오고, 시험 난이도가 높으면 표준점수가 높게 나옵니다.
표준점수를 적용하는 이유는 학생 간 선택 영역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각 영역의 난이도가 다르기 때문에 원점수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기준으로 점수를 재산정하는 것입니다. 응시생 간 형평성을 위한 것이지요.
- 상위권 학생이라면 상위권 학생들이 많이 선택하는 어려운 선택 과목을 골라 표준점수를 높일 수 있습니다.
3. 백분위
백분위는 "등수"입니다. 전체 응시자가 100명이라고 가정했을 때 나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몇명인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 위의 예시 성적표에서 국어 백분위가 93입니다.
- 이건 100명 중 93명이 홍길동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다는 의미입니다.
- 다시 말해, 홍길동은 국어에서 상위 7%를 하였습니다.
4. 등급 & 비중
등급은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1~9등급까지 적용됩니다. 이때 절대평가인 영어와 한국어는 제외됩니다. (하단 설명 참고)
- 1등급: 상위 4%
- 2등급: 상위 4% 초과 ~ 상위 11%
- 3등급: 상위 11% 초과 ~ 상위 23%
- 4등급: 상위 23% 초과 ~ 상위 40%
- 5등급: 상위 40% 초과 ~ 상위 60%
- 6등급: 상위 60% 초과 ~ 상위 77%
- 7등급: 상위 77% 초과 ~ 상위 89%
- 8등급: 상위 89% 초과 ~ 상위 96%
- 9등급: 상위 96% 초과 ~ 100%
※ 영어와 한국어는 상대평가가 아닌 절대평가 측정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상대평가와 관계없이 원점수에 따라 아래와 같이 등급이 적용됩니다.
- 1등급: 90~100점
- 2등급: 80~89점
- 3등급: 70~79점
- 4등급: 60~69점
- 5등급: 50~59점
- 6등급: 40~49점
- 7등급: 30~39점
- 8등급: 20~29점
- 9등급: 0~19점
산정 방식은 복잡하지만 결국 원점수가 높으면 표준점수와 백분위가 높게 나타납니다. 혼자 푸실 때는 원점수를 기준으로 등급을 예측해보시면 됩니다!!